Energy Materials and Electron Microscopy Group

Community

News

뉴스파일0.JPG

< (왼쪽부터) 신소재공학과 육종민 교수, 박정재 박사 >

 

퇴행성 질환을 유발하는 아밀로이드 섬유 단백질의 초기 불안정한 움직임과 같은 생명 현상을 분자 수준에서 실시간 관찰이 가능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를 통해 알츠하이머나 파킨슨 병과 같은 퇴행성 질환의 발병 과정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소재공학과 육종민 교수 연구팀이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연구팀과 함께 그래핀을 이용해 알츠하이머 질병을 유발한다고 알려진 아밀로이드 섬유 단백질의 실시간 거동을 관찰할 수 있는 새로운 단분자 관찰 기술(single-molecule technique)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단분자 관찰 기술은 단일 분자 수준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는 기법을 말한다. 생체 과정에서 수반되는 단백질 간의 상호작용, 접힘, 조립 과정 등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기술이다. 현재까지 단분자 관찰 기술로는 특정 분자를 식별하기 위한 형광 현미경을 이용해 관찰하거나, 단백질을 급속 냉동시켜 움직임을 고정해 분자 구조를 해석하는 초저온 전자현미경 기법이 활용 돼왔다.

 

하지만, 자연 그대로의 단백질을 특별한 전처리 없이 분자 단위에서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은 여전히 부재한 상황이었다. 

 

최근 이에 대한 대안으로 물질을 얼리지 않고 상온 상태에서 관찰하는 액상 전자현미경 기술이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이 기술은 얇은 투과막을 이용해 액체를 감싸 전자현미경 내에서 물질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이지만, 두꺼운 투과 막에 의한 분해능 저하와 전자빔에 의한 단백질 변성은 해결해야 하는 숙제였다. 

 

육종민 교수 연구팀은 차세대 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그래핀을 이용해 막에 의한 분해능 저하와 전자빔에 의한 단백질 변성 문제를 해결하며, 단백질의 거동을 실시간 관찰할 수 있는 단분자 그래핀 액상 셀 전자현미경 기술을 개발했다. [그림 1]

 

이번 연구에서 투과 막으로 이용한 그래핀은 원자 단위의 두께를 가지고 있어 분자 수준 관찰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전자빔에 의한 단백질의 산화를 방지하는 산화 방지 역할을 해 기존 대비 40배 가량 변성을 억제해 단백질의 거동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게 했다. 

 

연구팀은 개발한 전자현미경 기술을 활용해, 알츠하이머 질병을 유발한다고 알려진 아밀로이드 베타 섬유의 초기 성장 과정에서 발현되는 분자 불안정성을 세계 최초로 관찰했다. [그림 2]

 

이 전자현미경 기술은 온전한 단백질의 다양한 거동들을 분자 수준에서 관찰을 가능하게 하므로, 코로나19와 같은 바이러스성 단백질의 감염 과정, 퇴행성 질환을 일으키는 아밀로이드성 단백질의 섬유화/응집 거동 등과 같이 단백질의 상호작용에 의한 생명 현상을 이해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육종민 교수님 께서는 "현미경 기술의 발전은 생명과학 및 공학 기술 발전의 토대가 되는 것으로, 분자 단위의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면 단백질들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조절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알츠하이머와 같은 퇴행성 질환의 신약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ˮ 라고 말했다.

 

해당 연구는 신소재공학과 YUK Lab 연구실 졸업생 박정재 박사가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지난 11월 온라인으로 발표됐다. (논문명 : Single-Molecule Graphene Liquid Cell Electron Microscopy for Instability of Intermediate Amyloid Fibrils). 

 

 *그림 설명

 

뉴스파일1.jpg< 그림 1. 단분자 그래핀 액상 셀 전자현미경 모식도 및 성능: 그래핀으로 인한 전자빔에 의한 단백질 손상 억제 효과와 실제 액상 내 아밀로이드 베타 섬유 관찰 >

 

 

뉴스파일2.png

< 그림 2. 아밀로이드 섬유의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시간에 따른 변화: 아밀로이드 단백질은 지퍼와 같은 분자들의 맞물림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나타나는 다형성을 가지고 있는데, 연구팀은 완전한 지퍼구조가 형성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불안정한 다형성 변화가 발생함을 증명하였음 >

 

 

뉴스파일3.jpg

< 그림 3. 초기 아밀로이드 섬유 내에서 발생하는 불안정성의 분자 단위 실시간 이미지: 형태적인 불안정성을 일으키는 원인이 단백질 간 결합 사이의 물 분자로 인해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음 >

 

* 뉴스 링크

 

동아사이언스: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63571

 

헤럴드경제: https://news.heraldcorp.com/view.php?ud=20240129000794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40130072200063?input=1195m

 

뉴스1: https://www.news1.kr/articles/5305571

 

이데일리: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610486638762968&mediaCodeNo=257&OutLnkChk=Y

 

뉴시스: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40130_0002610009&cID=10807&pID=10800

 

전자신문: https://www.etnews.com/20240130000117

 

조선비즈: https://biz.chosun.com/science-chosun/science/2024/01/30/6IHSVYUR5FHBHB4WHO7XAUCYJQ/?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머니투데이: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013011182957172

 

노컷뉴스: https://www.nocutnews.co.kr/news/6087103

 

디지털타임스: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4013002109931731006&ref=naver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We are looking for highly motivated under/graduate students or post-docs 관리자 2016.12.08 4947
61 [Welcome] Ho Jun Lee joined YUK Lab 관리자 2019.03.05 894
60 [Congratulations] Joon Ha Chang was awarded BK21+ Scholarship from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Republic of Korea in 2019. 관리자 2019.03.19 814
59 [Invited talk] KICET (Korea Institute of Ceramic Engineering and Technology) (4 Aug. 2016) 관리자 2016.09.25 717
58 [Invited talk] Hanyang University (15 Jul. 2016) 관리자 2016.09.13 705
57 [invited talk] Postech, Department of Chemistry, Pohang, Korea (November 21, 2019) 관리자 2019.12.23 653
56 [Invited talk] KRISS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28 Jun. 2016) 관리자 2016.09.13 652
55 [Welcome] Hyeon Kook Seo joined YUK Lab 관리자 2017.04.11 613
54 [Invited talk] IMC20, Bexco, Busan, Korea (September 10-15, 2023) 관리자 2023.09.15 583
53 [Congratulations] Professor Jong Min Yuk joined department of MSE as an assistant professor 관리자 2016.08.04 571
52 [Welcome] Dao khoi joined YUK Lab 관리자 2018.03.08 547
51 [invited talk] 2019 KSM Annual Fall Conference, Gyeongju, Korea (November 14-15. 2019) 관리자 2019.12.23 540
50 [Invited talk]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Electromaterials (ICAE 2017), Ramada Plaza Jeju Hotel, Jeju, Korea (23 Nov. 2017) 관리자 2017.11.28 520
49 [Conference] 254th ACS National Meeting: Call for Paper (9/20~24, 2017) 관리자 2017.03.16 488
48 [Invited talk]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KAIST, Daejeon, Korea (29 Aug. 2017) 관리자 2017.09.14 456
» [News] Yuk Lab featured in the newspapers: Single-Molecule Graphene Liquid Cell Electron Microscopy for Instability of Intermediate Amyloid Fibrils file 관리자 2024.01.30 453
46 [Welcome] Hyunjong Lee joined YUK Lab 관리자 2017.04.11 386
45 [Congratulations] Sanghyeon Ji, received the best poster award from 20th International Microscopy Congress (10-15 September. 2023) 관리자 2023.11.20 354
44 [Congratulations] Khoi Dao received the excellent poster award in 2018 URP workshop. 관리자 2019.03.19 348
43 [Invited talk] Umea university, Umea, Sweden (13 Feb. 2019) 관리자 2019.02.19 335
42 [Welcome] Saltanat Toleukhanova joined YUK Lab 관리자 2019.09.16 323